[23/05/05] FOMC 발표와 결과에 대한 중국 금융시장의 반응(금리인상,FOMC,금융시장, 정책금리)
📌 주요내용
2. 정책결정문 변화
3. 중국 금융시장에는 6월 이후 미국 금리 인상이 종료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
1. FOMC 주요 내용 및 시장참가자들의 평가
[정책결정]
📌 정책금리 25bp 인상( 4.75~5.00% → 5.00~5.25%, 만장일치)
📌 IORB(4.9% → 5.15%) 및 O/N Reverse RP 금리(4.8% → 5.05%) 인상, QT 지속
[정책결정문 변화]
📌 "최근의 사태가 가계 및 기업의 신용여건 긴축을 초래할 가능성" → "가계 및 기업의 신용여건 긴축"으로 대체
📌 "추가적인 정책 긴축이 적절할 것으로 기대 → "추가적인 정책 긴축이 적절한지의 정도를 결정함에 있어” 대체
📌 “충분히 제약적인 정책기조를 유지하기 위해”, “향후 정책금리인상의 정도를 결정함에 있어” 둘다 삭제
[기자회견]
👉 회의에서 금리인상 중단 여부 결정은 없었음.
👉 정책결정문에 “추가 긴축 적절 기대” 문구를 삭제한 것은 의미있는 변화.
추가 긴축의적절성에 대한 평가는 지속적인 절차로서 회의 때마다 입수되는 데이터를보며 결정할 것
👉 현재 실질금리가 2%정도인데 이는 많은 사람들이중립금리로 생각하는 수준보다 높으며, 신용 위축, QT 지속 등을 추가로감안하면 정책금리가 충분히 제약적인 수준에 근접 또는 이미 도달했을가능성 높아
👉 금번에 정책결정문을 의미있게 변경하면서 25bp 인상한 것은과소대응(인플레이션 지속)과 과잉대응(경기둔화)간 균형을 맞추는 적절한 방법이었다고 생각
👉 아직 인플레이션 완화 속도가 더디고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전망되므로 지금 시점에서 금리인하를 생각하는 것은 부적절
👉 신용긴축 효과를 금리인상 정도로 전환하여 추정하기는 힘드나 그간 금리를꽤 높은 수준으로 인상해 오면서 신용이 축소된 것은 사실, 앞으로 신용여건 및 대출 데이터를 의사결정에 반영할 것.
👉 베이지북 및 대출담당자서베이(5.8일 발표 예정)에 따르면 중소은행이 대출기준 강화 필요성을 느끼고있으며, 은행 데이터는 대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 현재 통화정책수단과 금융안정수단은 상충되지 않음. SVB 뱅크런은 역사적으로 빠른 속도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를 규제 및 감독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
2. 금융시장 반응
📌 은행불안 및 부채한도 우려 등으로 위험회피심리가 이어진 가운데금번 FOMC가 dovish하게 해석되면서, 금리는 하락하고, 미달러화는 약세를보였으며 주가는 하락 📌 한편 한국지표는 원화 강세(+0.5%), 외평채 가산금리(-2.0bp) 축소, CDS 프리미엄(+0.4bp) 확대, 주요기업 주가 하락(POSCO –0.1%, 국민은행 –1.5% 등)
3. 5월 미국 FOMC 결과에 대한 중국 금융시장의 반응 및 시장 평가
[ 중국 금융시장 동향 ] 📌 중국 시장참가자들은 2023.5월 FOMC가 예상대로 정책금리를 25bp 인상하였다고 평가하는 가운데, 6월 이후 금리인상이 종료될 가능성이 높을것으로 전망
- 은행업권 불안 등으로 미국 주가와 금리는 하락
- 중국 금융시장은 노동절 연휴 소비 회복 효과등으로 주가가 상승하고, 위안화는 소폭 강세, 국채 금리는 소폭 하락
* 노동절 연휴 기간중 주요 통계(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국내 여행객수 2.7억명(연인원, +70.8%), 소매판매액 +18.9%, 외식업 +57.9% 등
> 주가(상해종합지수)는 0.82% 상승(3,323.27 → 3,350.46)
> 위안화는 강세 추세 유지(6.9284 → 6.9060, 오후 3 기준)
> 국채(10년물) 금리는 1.6bp 하락(2.7788% → 2.7620%, 오후 3 기준)
[ 시장 평가 ]
📌 중국 내 시장참가자들은 5월 FOMC의 25bp 정책금리 인상이 시장 예상에부합했다고 평가하면서, 정책결정문에 ‘추가 긴축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
이라는 표현을 삭제한 것은 의미있는 변화라고 분석
- 향후 통화정책 경로에 대해서는 미 연준이 현 금리수준을 연말까지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대부분인 가운데 미국 은행업권 불안의 전개 방향및 전이 여부가 통화정책 결정에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평가
- 한편 일부 시장전문가들은 미국의 경기침체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어 연내 금리인하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
📌 중국 금융시장과 관련하여 시장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중국 금융시장의변동성이 일시적으로 커질 수도 있겠으나,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양호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주가는 경제지표 호조,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투자 심리가 개선되면서 4월중 소폭 상승(상해종합지수 +1.5%)
- 한편 위안화는 미 달러지수 상승 등으로 약세(4월중 +0.8%)를 지속한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10년물 국채 수익률 역전폭은 소폭 축소되
출처
📈미 3대증시와 코인 / 주식 / 해외선물 실시간 시세를 Trading Room 챗봇에서 제공합니다.
나스닥, 크루드오일, 골드 등 해외선물 타점과 브리핑과 비공개 전략도 제공 됩니다.
하단 이미지 링크를 클릭 하시면 무료 입장 문의를 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경제 시황 및 이슈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5/08] 뉴스(중동철도망건설,우크라전쟁중국중재,영국국왕대관식) (0) | 2023.05.08 |
---|---|
미국증시시황[230505](나스닥,뱅크런,팩웨스트,웨스턴얼라이언스뱅코프) (0) | 2023.05.05 |
[23/05/05] 뉴스(EU금리인상, 반서방연대, 복지유럽종말, 부채한도) (0) | 2023.05.05 |
[23/05/04] 뉴스(금리인상,반도체자국주의,드론암살,AI안정성) (0) | 2023.05.04 |
[23/05/03] 뉴스(탈세계화,미정부디폴트,정상회담) (0) | 2023.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