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시황[230607](물가상승률둔화,연준긴축완화,소비자물가상승률)
📌 미증시시황
1. 미국이 경기침체를 피할 것으로 예상되며,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면 연방준비제도가 긴축에 느슨한 태도를 취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현재 미국 증시는 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적당한 상태로 이상적인 경제 상황으로 보여집니다
3. 미국의 고용 열기도 식고 있음이 확인됐고,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6월 금리동결 가능성까지 커지며 증시 상승에 완벽한 조건들이 갖춰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4. 미국의 5월 실업률이 3.7%로 집계됐고, 이는 지난 4월에 집계된 3.4%보다 높은 수준으로 연준의 고강도 긴축 여파로 미국의 고용 시장 열기가 식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5. 미국의 고용 시장이 경기침체를 시사하고 있는 만큼 연준이 긴축 기조를 철회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6. 실제로 금리인상 전망치를 확인하면 연방기금 금리 선물시장에서 연준의 6월 금리동결 가능성은 76%까지 높아 졌습니다
7. 최근 공급망 문제가 진정되고 있고,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핵심 요소들의 가격도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 미국은 경기침체 없이 헤쳐 나갈 것으로 보여지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로 둔화되면 연준이 금리 인상에 대해 여유로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달러지수 (DXY) : 104.30
나스닥 지수를 움직이는 주요 BIG7 기업들의 움직임을 보면
1. 메타 플랫폼스 -0.10% 하락, 거래량 19,419,010
2. 애플 -0.21% 하락, 거래량 64,848,374
3. 아마존닷컴 +1.05% 상승, 거래량 45,695,212
4. 엔비디아 -1.32% 하락, 거래량 39,872,914
5. 구글 +1.03% 상승, 거래량 26,638,295
6. 테슬라 +1.70% 상승, 거래량 146,911,576
7. 마이크로소프트 -0.67% 하락, 거래량 20,396,223
📌 나스닥요약
> 부채한도 협상이 타결되며 우려가 해소된 가운데, ISM 서비스업 지수 부진과 OPEC+의 감산 결정으로 인한 유가 상승,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으로 인해 혼조세로 마감 했습니다
> 현재 미국의 경기 침체 영향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연준의 긴축도 완화되고 있어 증시에는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장시작후 변동성이 심할수 있으니 조심하시고 시드대비 계약수 대응 잘해주시길 바랍니다!
📈 미 3대증시와 코인 / 주식 / 해외선물 실시간 시세를 Trading Room 챗봇에서 제공합니다.
⚠️ 나스닥, 크루드오일, 골드 등 해외선물 타점 및 브리핑, 비공개 전략 제공 됩니다.
👉 하단 이미지 링크를 클릭 하시면 무료 입장 문의를 할 수 있습니다.

'경제 시황 및 이슈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시황[230608](캐나다기준금리인상,미국국채수익률상승,FOMC기준금리전망) (0) | 2023.06.08 |
---|---|
[23/06/08] 뉴스(북한WHO이사국선출,미전부통령대권도전,OECD중국성장률상향) (0) | 2023.06.08 |
[23/06/07] 뉴스(유엔안보리비상임이사국,미국은행자본규제강화,니케이랠리) (0) | 2023.06.07 |
미국증시시황[230606](미국증시AI열풍,인공지능투자,메타플랫폼스) (0) | 2023.06.06 |
[23/06/06] 뉴스(사우디원유감산,중국지방정부빛,미국차관보중국방문) (0) | 2023.06.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