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시 WEEKLY 글로벌 시황 - 6월 둘째주 (금리결정,CPI,PPI,FOMC)
1. 지난 주 주식시장 동향
지난 주 호주, 캐나다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이후 부각되었던 연준의 추가 긴축 우려 및 AI 관련주 조정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으나, 미국 고용지표 부진 이후 6월 FOMC 동결 가능성이 재
차 부각, 시장금리 하락 등에 힘입어 재차 상승 마감했습니다.
5일(월) 미국 부채한도 협상안 상원 통과 소식, 미 5월 고용지표 결과 등 긍정적인
미국발 재료에 힘입어 강세를 보이면서 상승 마감.
5월 비농업부문 신규고용(33.9만건, 컨센18.0만건)의 서프라이즈를 보였으나, 실업률(3.7%, 컨센
3.5%)의 상승, 시간당평균임금(0.3%MoM, 컨센 0.4%) 둔화에 따른 임금 인플레 압력 완화로 오
히려 금리 동결에 힘을 실어준 결과를 보인 것 으로 나타나는게 보였습니다.
6일(화) 현충일 휴장 이후 ISM 서비스업 지수 쇼크, OPEC+의 감산 결정으로 인한 유가 상승,
호주, 캐나다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AI 관련주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이에 따라 연내 금리인하 기대감 후퇴 및 시장금리 상승으로 인한 수급 변동성 확대 등 대내외 불확실성 소화하며 부진한걸로 보였습니다.
그러나 9일(금) 미국 실업수당 청구건수 예상치 상회로 인해 6월 FOMC 금리 동결 가능성 재차
높아지며 미증시 강세장 진입, 엔비디아, AMD 등 AI 관련주 강세 등이 호재로 작용하며 반도체
업종으로 중심으로 강세, 기계, 조선, 상사자본재 등 경기 민감 업종 역시 동반 강세 보였습니다.
2.이번 주 주요 이슈 및 금융시장 동향
이번주 경제 스케줄은 정말 분주합니다. 우리나라 시간으로 오늘 화요일 저녁 21:30에 미국 CPI(소비자물가지수), 내일 수요일 저녁 21:30에 미국 PPI(생산자물가지수), 그리고 뒤이어 새벽(목요일 03:00)에 연준 FOMC 금리결정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업계에 도는 소문으로는 지난 달보다 인플레이션이 어느정도 잡힌 수치가 발표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합니다.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이 이번 FOMC때 금리동결이 오랜만에 이행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허나 예상과는 다르게 이번 물가지수가 예측치를 크게 상회한다면 또 어떻게 될지 모르니 지수 발표 때 잘 모니터링 잘 하셔야겠습니다.
3.이번 주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 6월 13일
📣 15:00 🇩🇪 / 독일
👉 소비자물가지수(전년대비,5월) ⭐️⭐️
👉 소비자물가지수(전월대비,5월) ⭐️⭐️⭐️
📣 21:30 🇺🇸 / 미국
👉 근원 소비자물가지수(전월대비,5월) ⭐️⭐️⭐️
👉 근원 소비자물가지수(전년대비,5월) ⭐️⭐️
👉 소비자물가지수(전년대비,5월) ⭐️⭐️⭐️
👉 소비자물가지수(전월대비,5월) ⭐️⭐️⭐️
✔️ 6월 14일
📣 15:00 🇬🇧 / 영국
👉 GDP(전월대비,4월) ⭐️⭐️⭐️
👉 GDP(전년대비,4월) ⭐️
👉 산업생산(전월대비,4월) ⭐️⭐️
👉 산업생산(전년대비,4월) ⭐️
👉 제조업 생산(전월대비,4월) ⭐️⭐️
👉 제조업 생산(전년대비,4월) ⭐️
👉 월간 GDP 3M/3M 변화 ⭐️⭐️
👉 무역수지 ⭐️⭐️
👉 비EU국 상대 무역수지 ⭐️⭐️
📣 21:30 🇺🇸 / 미국
👉 근원 생산자물가지수(전년대비,5월) ⭐
👉 근원 생산자물가지수(전월대비,5월) ⭐️⭐️
👉 생산자물가지수(전월대비,5월) ⭐️⭐️⭐️
📣 23:30 🇺🇸 / 미국
👉 원유재고 ⭐️⭐️⭐️
👉 쿠싱 원유 재고 ⭐️⭐️
✔️ 6월 15일
📣 03:00 🇺🇸 / 미국
👉 금리 예상-첫해(2분기) ⭐️⭐️
👉 금리 예상-두번째 해(2분기) ⭐️⭐️
👉 금리 예상-현재(2분기) ⭐️⭐️
👉 금리 예상-장기(2분기) ⭐️⭐️
👉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경제전망 ⭐️⭐️⭐️
👉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성명서 ⭐️⭐️⭐️
👉 금리결정 ⭐️⭐️⭐️
📣 03:30 🇺🇸 / 미국
👉 FOMC 기자회견 ⭐️⭐️⭐️
📣 21:15 🇪🇺 / 유럽연합
👉 예금금리 ⭐️⭐️⭐️
👉 ECB 한계대출 ⭐️⭐️
👉 유럽중앙은행 통화정책 보고서 ⭐️⭐️
👉 금리결정 ⭐️⭐️⭐️
📣 21:30 🇺🇸 / 미국
👉 연속 실업수당청구건수 ⭐️
👉 근원 소매판매(전월대비,5월) ⭐️⭐️⭐️
👉 수출물가지수(전월대비,5월) ⭐️⭐️
👉 수입물가지수(전월대비,5월) ⭐️⭐️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
👉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 ⭐️⭐️⭐️
👉 필라델피아 연준 고용률 ⭐️⭐️
👉 소매판매(전년대비,5월) ⭐️
👉 소매판매(전월대비,5월) ⭐️⭐️⭐️
📣 21:45 🇪🇺 / 유럽연합
👉 유럽중앙은행 기자회견 ⭐️⭐️⭐️
✔️ 6월 16일
📣 18:00 🇪🇺 / 유럽연합
👉 근원 소비자물가지수(전년대비,5월) ⭐️⭐️
👉 근원 소비자물가지수(전월대비,5월) ⭐️
👉 소비자물가지수(전년대비,5월) ⭐️⭐️⭐️
👉 소비자물가지수(전월대비,5월) ⭐️⭐️
👉 유로존의 임금(전년대비,1분기) ⭐️⭐️
4.글로벌 마켓 동향
■뉴욕증시, 물가·FOMC 앞두고 상승…S&P500 4,300 돌파 마감
- 뉴욕증시는 이번 주 예정된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와 6월 FOMC 정례회의를 앞두
고 큰 폭으로 상승 마감
- S&P500지수가 마감가 기준으로 4,300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 4월 이후 처음이며 나스닥지
수도 지난해 4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 다우지수는 올해 4월 이후 최고치 경신
- 경제 연착륙에 대한 기대가 커진 데다 연준의 금리 인상도 막바지에 다다랐다는 전망이 강화
되면서 오름세가 유지됐지만 투자자들은 다음날 나오는 CPI와 14일 결과가 나오는 FOMC 정
례회의를 경계
-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물가지표가 예상대로 낮아진다면 단기적으로 증시에 순풍이 될 수 있
다고 예상했으며 다만 깜짝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연준이 매파적으로 나올 가능
성에도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다고 분석
■유럽증시, 美연준·ECB 회의 앞두고 상승 마감
- 유럽증시는 이번 주 미 연준과 유럽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회의 등 굵직한 이벤트를 앞두고
소폭 오름세로 마감
■달러화, 중앙은행의 시간 앞두고 혼조
- 달러화는 미국 연준을 시작으로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줄줄이 통화정책 결정을 위한 정례 회
의를 개최할 예정이기 때문에 짙은 관망세 속에 혼조세로 마감
-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을 확인할 수 있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가 임박했다는 점도 관
망세를 부추겼는데, 인플레 압력이 여전히 거센 경우 연준이 매파 행보를 보일수 있기 때문
- 오는 14일 미국 연준이 통화정책을 발표하면 유럽중앙은행(ECB)가 15일 뒤를 따를 예정이
며 외환 전문가들은 ECB가 이번 달 통화정책 회의에서 유로존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최
소 25bp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
■국제유가, 수요 둔화 우려에 4%↓…70달러 하회
- 뉴욕유가는 중국의 지표 부진에 따른 수요 우려로 배럴당 70달러 선을 깨며 하락세를 지속
- 산유국들의 감산 조치에도 불구하고 유가는 3거래일 간 7.46% 하락했으며 투자자들은 다음
날 나오는 미국의 물가 지표와 이번 주 예정된 연준의 통화정책 회의를 주시
■금 가격, '빅 이벤트' 대기하며 하락
- 금 가격은 이번 주 예정된 FOMC와 물가지표를 주시하며 관망세의 모습으로 하락 마감
📈지수
종합(KOSPI) 2,629.35 -0.45%
일본니케이225지수 32,434.00 +0.52%
중국상해종합지수 3,228.83 -0.08%
유로스톡스50 4,316.49 +0.62%
독일지수 16,097.87 +0.93%
프랑스지수 7,250.35 +0.52%
다우존스 산업지수 34,066.33 +0.56%
S&P500 4,338.93 +0.93%
브라질지수 117,336.30 +0.27%
인도지수 62,724.71 +0.16%
📈통화
USD/KOR 1,288.30 -0.25%
EUR/USD 1.0747 -0.15%
USD/JPY 139.60 +0.14%
GBP/USD 1.2508 -0.45%
AUD/USD 0.6747 +0.09%
USD/CAD 1.3369 -0.25%
USD/CNY 7.1472 +0.26%
USD/HKD 7.8338 -0.07%
USD/CHF 0.9090 +0.61%
USD/BRL 4.885 +0.12%
📈에너지/금속
WTI, 뉴욕 (선) 67.12 -4.35%
Brent, 북해산 (선) 71.84 -3.94%
Natural Gas(선) 2.266 +0.53%
금, 뉴욕 (선) 1,969.70 -0.38%
은, 뉴욕 (선) 24.06 -1.44%
구리, LME 8,368.00 +1.52%
아연, LME 2,397.00 +1.10%
니켈, LME 21,390.00 +1.33%
알루미늄, LME 1,952.00 +0.05%
주석, LME 27,075.00 +4.34%
5.주요 종목 지지/저항
유로
Long
매수가: 1.07085 / 1.06955
익절가: 1.07370 / 1.07845
손절가: 1.06850
크루드오일
Long
매수가: 68.63 / 68.32
익절가: 69.23 / 70.12
손절가: 67.90
다우
Long
매수가: 33351 / 33269
익절가: 33515 / 33684
손절가: 33202
골드
Long
매수가: 1963.7 / 1959.8
익절가: 1973.2 / 1987.4
손절가: 1956.3
파운드
Long
매수가: 1.2509 / 1.2498
익절가: 1.2528 / 1.2550
손절가: 1.2487
⏰ ⏰ ⏰
👉 주요 경제지표 발표 전과 발표 결과의 실시간 알람를 받아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 ❗️ [Premium] Trading Room❗️ 이미지를 클릭해주시기 바랍니다.
'경제 시황 및 이슈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6/14] 뉴스(미중신경전,소비자물가,금리동결) (0) | 2023.06.14 |
---|---|
미국증시시황[230613](기대인플레이션,FOMC,소비자물가지수) (1) | 2023.06.13 |
[23/06/13] 뉴스(중국디레버리징,보크사이트수출금지,홍콩챗봇서비스차단) (0) | 2023.06.13 |
미국증시시황[230612](경기둔화영향,부실대출,은행유동성위기) (0) | 2023.06.12 |
[23/06/12] 뉴스(중국채권시장,트럼프기밀반출,미국부채한도개혁) (0) | 2023.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