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컷(금리 50BP 인하) 이후로 보는 나스닥,비트코인 / 달러인덱스,USDT.D 차트 브리핑
금일 03AM 연준의 금리결정이 예측치보다 25bp 더 큰 인하인 50BP인하를 발표했다.
22년 3월부터 꾸준하게 금리 인상 이후 인하가 없었던터라, 인하의 시점이 다소 늦어졌었고 이번 예측치는 무의미 했던 수치였다.
발표직후 수급이 들어왔으나, 이미 시장에 반영된지라 곧이어 차익실현 매물도 많이 나왔고 기대했던 슈팅은 없었다.
특히 기자회견에서 경기침체를 아직 우려했던 재정적자나 조작된 데이터가 아니냐라는 의견이 팽배하면서 큰 기대감을 익축시켰다.
필자는 금리 발표의 수치를(25냐 50이냐 하는 수치) 실제 트레이딩의 지표나 판단도구로써 사용하지 않고
금리발표 데이터 역시 차트로 해석을하고, 보고있는 종목의 차트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질지 대입을 해보면 직접적인 연관보다는 달러인덱스에 더 큰 영향을 주며 나스닥이나 증시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달러인덱스를 보고 참고하는 편이 더 효율적이라고 본다.
달러인덱스의 일봉을 보면, 금리 4%대인 22년 10월 부터 인상을 1.5%더 했지만 가격이 미끄러진걸 볼 수 있다.
연준의 빠른 금리인상으로 달러인덱스에 포함된 달러 이외의 통화들이 급격히 빠진 후 제 자리를 찾아 가고 있다고 해석을 한다면 현재 "수렴" 상태라는 걸 알 수 있다.
전일 금리 인하가 50BP면 큰 수치였지만 꾸준한 인상으로 오른 달러인덱스만큼 이번 인하로 달러인덱스는 큰 하락이 나오지 않고 100USD를 지켰다. 따라서 앞으로 달러 인덱스가 장기적으로 더 큰 하락을 할지 이전 강달러를 회복할지는 모르겠으나 현재까지의 하락의 소강상태로 이번 "연말까"지는 수렴 중심라인까지는 다시 인력(끌어당김)이 작용 할것으로 해석을 한다.
달러인덱스가 높아지면 usd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전반적인 미증시가격의 하방압력이 작용한다.
달러를 기반으로 거래를 하는 비트코인도 마찬가지.
근래 나스닥,비트코인이 큰 하락을 겪고나서 꾸준한 수급이 올 수 있던것은 DXY의 하락이 어느정도 연관이 있다고 해석을 하고 있다.
이 달러의 큰 움직임을 바탕으로 나스닥과 비트코인등 현재 거래하는 종목들의 차트를 연관지어 보겠다.
나스닥의 7월부터 8월까지 나온 하락의 기울기나 가속도로 보았을때 앞서 나온 굵직한 상승파동이 일단락 되었다고 해석을 하고있다.
따라서 해당 상승파동이 형성되기 까지 걸린시간인 300일봉의 최소 1/3인 100일봉은 조정기간이라고 보고 최소 연말까지는 상승보다는 하락의 가능성을 점치고 있습니다.
위에 언급드렸던 달러인덱스의 12월까지의 상승흐름과 빗대어 본다면 달러인덱스의 상승시기, 나스닥의 조정시기를 합쳐 조금 더 확률이 높은 포지션을 선택하는데 이점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 까지의 나스닥의 상황을 보자면, 가장 확률이 높은 조정파동의 흐름은
플랫조정 ABC (빨간경로)or 수렴(노란경로) 라고 보여집니다.
이 두 구간이 겹치는 자리인 상단 매도 공략자리의 자세한 수치는 텔레그램 VVIP채널로 업로드 하면서 디테일한 수치 조정을 거쳐 공유드리겠습니다.
곧이어 비트코인 방향성을 확인하기전 USDT.D를 해석해보겠습니다.
보이시는 차트는 일봉입니다. 비트코인이 15K부터 70K까지 상승하는 동안 차트는 내려왔고 이에따른 반발로 15K에 있었던 매물대에 닿지 못하고 현재 수렴중입니다.
굵은 빨간선과 얇은 빨간선을 차트 패턴상 지지를 해줄만한 위치라고 보는데 여기서 지지를 해줄 경우 상단의 빨간선까지 도달 할 가능성이 있어 이 시점을 매도 시점으로 잡고 있습니다.
현재 달러인덱스의 상황이 가격이 내려와주면서 비트코인의 상승도 도움을 주고 있었다고 본다면, 달러 인덱스가 12월 말까지 상승을 한다면 비트코인 상승도 제한적일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나스닥과 시기는 일치하진 않겠지만 달러의 영향을 좀 더 받는다면 나스닥보다 더 하방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고
12월까지 하락을 계속한다면 더 큰 하락도 가능하다는 의견입니다.
앞서 나온 2개 고점을 기준으로 매도 진입시 최소 중간자리까지 익절 가능성을 점칠 수 있을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노란경로와 보라색 경로로 움직일 가능성을 기다려 보겠습니다.
9월초에 스위칭한 롱포지션은 차례로 익절을 했으며 이제 곧 매도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전차시 여러분들에게 큰 관점을 빨리 공유드리고자 업로드 합니다.
본 해석은 전반적으로 1차적인 해석에 지나지 않으며 실제 거래를 한다면 더 디테일한 근거를 가지고 접근할 예정입니다.
추석연휴도 지났고 본격적으로 거래를 앞두고 디테일한 해석이나 전략을 가지고 텔레그램을 통해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차트 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스닥의 끝없는 신고점 갱신! 어디까지 눌러주고 어디까지 갈까? (0) | 2024.11.20 |
---|---|
2024.08.19 나스닥 차트 브리핑 (0) | 2024.08.19 |
엔디비아 실적발표! 나스닥 언제까지 오를까? (0) | 2024.05.23 |
금 (골드) 상승 추세는 언제까지 지속 될까? (0) | 2024.05.21 |
파동으로 보는 나스닥 거래 전략 (0) | 2024.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