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지적 차트 시점 - CVP Array CD #보조지표

전지적 차트 시점 발행일 : 2023-04-26

전지적 차트 시점 - CVP Array CD

 

 

- 차트 세계에는 여러 기술적 보조지표가 존재합니다. 특히 MACD를 비롯해 이동평균선들의 이격도를 활용해 추세와 타점을 도출하는 지표는 요즘 트레이더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MACD는 장기(26)와 단기(12), 두개의 이동평균선의 격차인 MACD Line과 9 이동평균선의 이격도를 히스토그램으로 시각화한 지표입니다. 결국에 다른 두 길이의 지표가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지(Diverging) 좁아지는지(Converging)를 보는 겁니다.

 

 

- 하지만 MACD는 오직 두 개의 이동평균선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복잡하면서 시시가각 변하는 현대 금융 시장의 추세를 정확히 잡아내는데 한계가 존재합니다. 때문에 기존에 저희의 MMAR(Multiple Moving Average Ribbon)와 MACD를 기반으로 다양한 길이의 이동평균선을 활용하여 시장의 단기, 중기, 그리고 장기 추세를 한 눈에 포착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지표를 한번 만들어봤습니다.

- 지표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이동평균선들의 배열과 역배열 여부를 기반으로 시그널을 찾아내는 지표입니다

 

 

- Array CD는 세 개의 이동평균선 Pair를, 즉 총 6개의 이동평균선을 고려하여 총 세 개의 CD Line들을 시각화 해주는 지표입니다. 이 세개의 CD Line들의 벌어진 정도를, 즉 격차를 정배열일 때는 양 히스토그램으로, 역배열일 때는 음 히스토그램으로 표시를 해줍니다.

- 해당 선들의 크로스가 진행되고 배열이 순차적으로 위치하기 시작할 때 동그라미 시그널이 발생하게끔 설정 해놨습니다.

 

- 골든 크로스는 최대한 밑에서, 데드 크로스는 최대한 위에서 발생할수록 추세 전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히스토그램 변곡도 추세 전화의 신호가 될 수 있으니 주의 깊게 보시는 게 좋습니다.

- 이러한 CD 계열의 지표는 크로스가 뜨기 전에 히스토그램의 고점/저점으로 미리 힌트를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 마찬가지로 히스토그램 또한 CD Line들의 골든 크로스가 최대한 위에서 발생할수록 양 히스토그램 고점, 최대한 아래에서 발생할수록 음 히스토그램 저점의 출연 여부에 주목하셔야 합니다.

 

Telegram 바로가기
Youtube 바로가기
링크모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