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3/05/20] 나스닥 차트 브리핑 (성장주, 부채한도협상, 디폴트, 경기선행지수)

전지적 차트 시점 발행일 : 2023-05-20

-나스닥 차트 브리핑


경기선행지수가 13개월 연속 하락 소식에도, 차주 부채한도 협상 기대 속에 증시가 한단계 추가 상승 했습니다.
언급을 몇차례 드렸던 매도 홀딩의 한가지 리스크가 에센피,다우의 반등이 이번 나스닥 상승의 힘을 보태주었는데요.
선행지수가 하락세인걸 감안해 에센피,다우는 상승폭이 낮은면 나스닥은 몇몇 성장주 종목의 상승세로 인해 추세를 더해갔습니다.

그전 브리핑에서 기준점이 생각보다 쉽게 깨지면서 앞에서 쌓여뒀던 매물대를 벗어난걸로 관점을 수정하고 가격이 빠지기 전까지 시간이 걸린다는것을 고려해(매물대를 뚫고 내려가는 시간) 관점 정리를 했습니다.

1.채널관점


차주까지의 현재 가격대에서의 혼조세를 동반한 조정을 보고 있는 관점.


6월1일 미국 부채한도 협상의 결과에 따라 디폴트의 논의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하락을 하기전 다음주 혼조세를 보이면서
일정 가격까지의 눌림 이후 마지막 파동을 보여주는 시나리오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시기상으로 다우의 경우 조정의 기간이 아직 남았다는걸 감안해 2주간 상승추세를 보여주었던 성장주들이 개별적으로 조정을 받으면서 파란박스(매물대)까지의 조정이후 미3대 증시의 추세의 힘입어 한번의 추가상승을 보여 줄 것으로 보입니다.

 

이때의 눌림의 정도에 따라 고점갱신의 가능성이 보일것으로 예상되며 매물대 초입까지는 눌림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만약 예상보다 조정이 짧다 한다고해도 13500까지는 조정을 줘야 지지 받을상황으로 매도 목표가격을 1차 13500 2차13250정도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매물대 까지 반등이후 고점을 갱신하지 못한다면 튀어오른 가격이 올해의 고점이 될 가능성도 보이며 다시 매물대로 하락을 한다면 상승채널이 깨지면서 그간의 매물이 쏟아지면서 12000초반까지의 모멘텀을 염두해야 합니다.

2.상승쐐기관점


위에 설명 드린 관점에서 다음주까지 가격이 깊게 빠진다면 하단 추세선까지 조정을 보고 있습니다.

 

지금 다우나 에센피의 조정의 시기가 끝나기 까지 얼마 남지 않았는데 이시기와 나스닥의 조정이 겹친다면 차익실현이 나오면서 큰 음봉이 쏟아지겠지만 시장의 돈이 다시 일부분 들어와 고점을 다시 살짝 높이고 쐐기의 하단을 돌파하면서 매물대까지의 하락 가능성이 보입니다. 만약 이런 패턴이 나온다면 매물대에서 기간을 끌다가 가격이 점차 빠지거나
매물대의서 약반등이후 헤드앤숄더 패턴을 만들며 재차 하락할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위에 채널관점과의 차이점은 현재 가격이 고점의 주변가격이며 내년까지도 다시 오지 않을 가격일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컨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가 하락폭이 축소되고 있지만 그나마 탄탄한 고용지수가 안좋은 결과를 보인다면 연준의 금리인상은 보다 확실해지며 인하까지의 기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될것이 자명합니다.
소비자 물가지수의 중요성이 비단 물가뿐만 아니라 경제전반의 기업실적,고용등과 같이 두고 봐야하는데 물가가 안정화가 된다고 해서 기업실적과 고용지수등이 좋아지기보다 오히려 나빠질 수 있다는 가정을 한다면 각 지표의 결과에 따른 통화정책의 연관성을 유심히 살펴보고 기업가치에 대한 평가,모멘텀을 살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전망은 완만한 침체의 가능성이 높아보이며 글로벌 경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대다수인게 지정학적으로도 앞으로 글로벌 경제 성장률은 높아질 가능성이 낮다고 가정을 한다면 특히나 나스닥같은 성장주 중심의 지수는 상황이 좋지 않습니다. 이번 상승이 다우,에센피에 많이 오른것은 마지막 반짝 상승으로 보인다는게 제 견해입니다.

3.매매전략


위 두 관점 모두 연초부터 올라온 파동의 약화로 보고있으며 결과적으로 큰 관점에서 14400을 MAX가격으로 보고 있습니다.

파동적으로 해당 가격을 넘기려면 상승채널을 한번 깨고11500에서 지지를 받아야 올라야 하는데 이는 기간적으로 내년은 지나야 가능성이 보인다고 생각하고
현재 가격은 고점에 가깝지만 추가 상승가능성이 대체로 높은축에 속하니 신규매도보다는 주요 가격근처에서 신규 매도를 해서 눌림의 정도에 따른 전략적인  부분익절로 추가 상승에 대한 리스크를 방지하면서 가격이 올라주면 더 좋은 평균 단가를 위한 기다림을 한다면 전략적으로 좋은 포지션을 취할 것으로 보입니다.


상승폭이 커서 심리적으로 매도를 진입하기에 어려운 상황이지만 역설적으로는 진입하기 어려운 자리가 아주 좋은 타점이 됩니다. 시나리오를 꼭 숙지하지 않더라도 레버리지 조절, 리스크 조절을 잘 하신다면 방향이 틀리더라도 충분히 빠져나오거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트레이딩이 가능한 자리라고 생각하며 매도 홀딩이후 주요가격 터치에 따른 시나리오를 좁혀가며 앞으로의 브리핑을 드리겠습니다.

📈 미 3대증시와 코인 / 주식 / 해외선물 실시간 시세를 Trading Room 챗봇에서 제공합니다.
⚠️ 나스닥, 크루드오일, 골드 등 해외선물 타점 및 브리핑, 비공개 전략 제공 됩니다.
👉 하단 이미지 링크를 클릭 하시면 무료 입장 문의를 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