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표99

[23/06/15] 뉴스(미국과이란핵협상,EU탄소배출,유럽의회AI규제) 📌주요 뉴스 1. 횡재세는 전쟁으로 인해 이익을 얻은 기업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러시아 정부는 이 세금으로 전쟁 비용을 충당하고 경제를 안정시킬 계획입니다. 2.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팔레스타인 독립국을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시 주석은 팔레스타인이 독립국을 건설할 수 있도록 중국이 계속해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3. 스웨덴과 핀란드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나토 가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두 나라는 그동안 중립국이었지만, 러시아의 침공으로 인해 군사적 안보를 위해 나토 가입을 결정했습니다. 📌전체 뉴스 🗞 전쟁으로 곳간 빈 러시아…“대기업에 횡재세 부과” ➡️ 보러가기 🗞 스웨덴 나토가입 회담 결론 없이 종료…"회담 계속할 것" ➡️ 보러가기 🗞 시진핑 "동예루살렘 수도로 한 팔레스타인 독립국 .. 경제 시황 및 이슈 정리 2023. 6. 15.
미국증시시황[230614](금리동결,근원인플레이션,연방준비제도) 📌 미증시시황 1. 5월 CPI가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발표된 가운데, 미 연준은 6월 금리동결을 결정할 것으로 보여지고, 올해 연준이 기준금리를 퐁당퐁당 인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500bp에 달하는 금리인상폭과 그간의 느리지만 꾸준한 인플레이션 둔화세를 고려했을 때, 5월 CPI가 다소 높게 나타났더라도 금리동결 결정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긴축 기조는 여전히 남이있어 변동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 5월 명목 CPI는 +0.1% MoM으로 뚜렷하게 둔화되었던 반면,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의 경우에는 +0.4% MoM으로 높게 유지되었고, 이는 결코 비둘기파적인 해석을 하기 어려운 인플레이션으로 보여졌습니다. 4, 미 연준은 근원 인플레이.. 경제 시황 및 이슈 정리 2023. 6. 14.
[23/06/14] 뉴스(미중신경전,소비자물가,금리동결) 📌주요 뉴스 1. 미국은 쿠바에 있는 중국의 군사 기지가 미국의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주장하며, 중국은 미국의 주장을 일축하고 있습니다 2. 미국의 소비자물가가 11개월째 하락했습니다. 이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3. 볼턴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20년 대선에서 패배한 후에도 권력을 유지하려고 시도했으며, 이는 미국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이라고 말했습니다. 📌전체 뉴스 🗞 ‘쿠바 도청기지’로 옮겨붙은 미-중 신경전…블링컨 방중은? ➡️ 보러가기 🗞 '트럼프의 안보보좌관' 볼턴 "신속한 재판으로 정치생명 끝내야" ➡️ 보러가기 🗞 11개월째 내린 美소비자물가…금리 동결 가능성 96% '껑충' ➡️ 보러가기 🗞 시베리아가 6월에 40도라고? 70년 만의 '최악의 폭염' ➡️.. 경제 시황 및 이슈 정리 2023. 6. 14.
미국증시시황[230613](기대인플레이션,FOMC,소비자물가지수) 📌 미증시시황 1. 최근 증시는 6월 FOMC를 앞두고 연준의 추가 긴축에 대한 우려가 남아있음에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2. 이는 금일 발표될 미국의 5월 CPI가 전월 대비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3. 반도체 업종으로 다시 매수세가 몰리면서 기술주가 강세를 보였고, 주요 반도체 종목으로 구성된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상승하고 있어 나스닥에도 상승세를 불어 넣어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애플과 테슬라 같은 미국 증시의 굵직한 기업들이 상승 랠리를 이어가면서 사상 최고치, 역대 최장 랠리 등 잇따라 신기록을 세우고 있습니다 5. 월가에서도 향후 미국 증시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6. 현재 미국 증시 강세가 지켜만 보던 시장 참여자들을 증.. 경제 시황 및 이슈 정리 2023. 6. 13.
[23/06/13] 뉴스(중국디레버리징,보크사이트수출금지,홍콩챗봇서비스차단) 📌주요 뉴스 1. 미국의 대형 투자자들이 빠른 속도로 주식을 매도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경제가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2. UBS와 CS가 합병을 완료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3.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부동산 시장이 L자형 침체로 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는 중국의 부동산 규제 강화와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전체 뉴스 🗞 "美 대형투자자들, 빠른 속도로 주식 매도 중" ➡️ 보러가기 🗞 골드만삭스 "中 부동산 'L자형' 침체로 간다" ➡️ 보러가기 🗞 대만 등지고 中 택한 온두라스…중남미 침투한 '차이나 머니' ➡️ 보러가기 🗞 인니, 알루미늄 원료 보크사이트 수출 금지 돌입… 업계 “대량.. 경제 시황 및 이슈 정리 2023. 6. 13.
미국증시시황[230612](경기둔화영향,부실대출,은행유동성위기) 📌 미증시시황 1. 최근 증시 전망에 대한 엇갈린 전망들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고 있으며, 금리인하를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보여지면서 증시 상승세가 견고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2. 23년 미국 증시가 강력한 랠리를 경험하고 있으나, 미 연준이 금리인하로 선회할 것이라고는 기대하기 어려우며 금리동결조차도 낙관할 수 없는 상황 입니다 3. 6월 FOMC에서는 금리동결이 발표될 것으로 보이나, 추가적인 금리인상 가능성이 상당히 크며 이는 시장이 바라는 바가 아니고, 미 연준뿐만 아니라 글로벌 중앙은행들도 통화긴축 기조를 이어갈 것입니다 4. 부실대출 문제가 커지고 있고 기업들의 실적 추이는 견고하지 못한 모습입니다. 5. 특히 경기민감주들의 실적은 주가를 지지하기 어렵고, 은행 유동성 위기 이후 대출기.. 경제 시황 및 이슈 정리 2023. 6. 12.
[23/06/12] 뉴스(중국채권시장,트럼프기밀반출,미국부채한도개혁) 📌주요 뉴스 1. 미국 법무부는 2023년 6월 7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기밀 정보를 무단으로 빼돌린 혐의로 37개 혐의를 적용했습니다. 2. 민주당은 개혁안을 통해 부채한도를 상향하고, 정부의 신용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3. 최근 5개월 동안 외국인 투자자들이 중국 채권시장에서 43조원을 이탈했습니다. 이는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와 미국의 금리 인상 전망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전체 뉴스 🗞 튀르키예, 월가 출신 첫 여성 중앙은행 총재 임명 ➡️ 보러가기 🗞 5개월새 43조원 이탈, 외국인 中 채권시장에서 빠져나와 ➡️ 보러가기 🗞 '기밀반출' 트럼프에 37개 혐의 적용…美 대선 대혼란 ➡️ 보러가기 🗞 사우디 에너지 장관 "'中과 밀착' 서방 비판 신경 안써" ➡.. 경제 시황 및 이슈 정리 2023. 6. 12.
미국증시시황[230609](스페인기가팩토리,미국경기침체탈출,기술주강세) 📌 미증시시황 1. 최근 10거래일 동안 테슬라 주가 흐름을 보면, 호재가 발생해 주가가 오른 뒤, 곧바로 새로운 호재가 터지며 상승 랠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 테슬라 주가가 간밤 시간외거래에서 새로운 호재에 힘입어 5% 오른 만큼, 오늘 정규장에서 특별한 이슈가 발생하지 않는 한 11거래일 상승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3. 테슬라가 상승 랠리가 나온 배경에는 크게 4가지 호재가 있습니다 4. 첫 번째는 일론 머스크 CEO의 중국 방문이며, 중국에서 현지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주가가 반등해 주었습니다 5. 미국 정부가 테슬라 모델3 일부 차량에만 한정했던 세금 공제 혜택을 모델3 전체 차량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하면서 주가 상승에 힘을 보태주었습니다 6. 전날 테슬라가 스페인 정부와 .. 경제 시황 및 이슈 정리 2023. 6. 9.
미국증시시황[230608](캐나다기준금리인상,미국국채수익률상승,FOMC기준금리전망) 📌 미증시시황 1. 현재 캐나다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미 국채수익률이 상승했고, 빅테크들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 호주에 이어 캐나다도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미국도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심리가 시장에 추가된 것으로 보입니다 3. 다음주 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은 78%였지만, 현재 70%로써 동결 확률이 내려왔습니다 4. 정책금리에 민감한 미국 2년물 국채수익률도 현재 상승하면서 4.6%에 다가서고 있습니다 5. 그동안 미 증시 상승세를 견인했던 기술주가 주춤한 모습을 보이면서 투자심리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6. 최근 미국 증시 상승랠리를 견인하고 있는 AI 열풍이 꺼질 경우 증시를 둘러싼 투자심리는 악화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7. 유동성 위기에 경기침체 리스크가 .. 경제 시황 및 이슈 정리 2023. 6. 8.
[23/06/08] 뉴스(북한WHO이사국선출,미전부통령대권도전,OECD중국성장률상향) 📌주요 뉴스 1.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5월 중국의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5% 감소한 2,833억 5,0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2. OECD와 WB는 중국 경제가 내수 소비와 수출 증가에 힘입어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3. 우크라이나의 외무 장관은 아프리카에 러시아의 침공에 대한 지지를 요청했습니다. 📌전체 뉴스 🗞 中 수출 3개월만에 마이너스…전년비 7.5% 하락 ➡️ 보러가기 🗞 OECD·WB, 올해 中성장률 예상치 5.4, 5.6%로 각각 상향 ➡️ 보러가기 🗞 우크라 외무 "우리도 독립 위해 싸운다"…아프리카에 지지 요청 ➡️ 보러가기 🗞 나토 '댐 파괴' 긴급회의...WFP "전세계 3억4500만명 굶주릴 것" ➡️ 보러가기 🗞 “사이좋게 지냅시다”…빈살만 이어 시진핑 찾아가는.. 경제 시황 및 이슈 정리 2023.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