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운드9 달러 인덱스로 보는 외환 거래 공략 최근 美국채 수익률이 오르면서 달러 인덱스의 모멘텀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달러 인덱스가 오르는데도 美증시가 크게 빠지지않고 비트코인도 아직 빠질기미가 안보이는데, 달러인덱스가 조금 더 오르고 전고점을 위협할때 언급드린 종목 가격들이 슬슬 빠질타이밍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美증시와 비트코인은 아직 좋은 매도가격이 오기까지 고점에서 시간을 끌다가 치고 빠질가능성을 보고있기 떄문에 추후에 따로 언급을 드리고, 오늘 보여드릴 종목은 달러인덱스와 관련된 통화상품입니다. 엔화도 지지선이 무너지고, 달러 인덱스와 관련된 통화상품 가격의 의미있는 저점들이 하나 둘 씩 깨지는 가운데 달러인덱스의 차트상의 고점을 예측하여 통화 선물 상품의 매력적인 매수가격을 공략해 보았습니다. 달러인덱스는 이전 저항 지점에서 빠.. 차트 브리핑 2024. 4. 12. 더보기 ›› 달러인덱스 공략 이후의 전종목 포지션 트래킹 (1월30~) 달러인덱스의 차트를 분석해보고 해당 지표와 연관이 있는 해외선물 종목들의 지지 저항을 확인하며 달러인덱스의 움직임의 따른 거래전략을 업로드하고 약 3주가 지났습니다. 손익비가 높고 대부분 기다리는 트레이딩 셋업을 했기 때문에 손절이 있던 종목이 했지만 80%이상의 승률과 높은 손익비의 이상적인 거래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최종 목표가에 도달하면서 포지션 종료가 된 종목과 분할익절 후 최종 목표가를 기다리는 종목 분할익절이 되었으나 예상경로 이탈로 손절이 된 종목 등등 공략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복기하면서 미리 셋팅한 진입가와 익절가가 의미가 있던 자리인지 되짚어보는 컨텐츠 입니다. 거래 전략을 통한 포지션 진입내역과 진입경로를 차트상에 간략하게 표시해 두었으니 공략으로 인한 포지션 진입여부와 대응 그리고 목.. 차트 브리핑 2024. 2. 20. 더보기 ›› 해외선물 레버리지 계산법 - 나스닥 항셍 골드 오일 유로 이번 시간엔 해외선물 거래의 레버리지를 계산해보고 이를 통해 리스크가 얼마나 되고 수익률 얼마나 되는지 계산해보겠습니다. 해외선물 거래는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거래 위험도가 높은 고 위험도 상품으로 분류합니다. 하지만 틱가치나 수익금액 정도로 계산을 하지, 통상적으로 레버리지는 얼마나 쓰는건지 수익률은 얼마나 되는건지 모르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자신이 거래하는 상품의 위험도와 수익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올바른 개념을 잡기 위해 이번 컨텐츠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초보자,숙련자 상관없이 컨텐츠 내용을 확인해서 트레이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bing-x에서 트레이딩을 할때와 현재 준비중인 카피 트레이딩 시에 자산운용과 리스크 관리의 틀을 잡아 줄 수 있으니 이를 응용하는 방법까지 다음 컨텐츠로.. 교육자료 2024. 2. 13. 더보기 ›› 2024-02-05 포지션 차트 브리핑 2024-02-05 금일 포지션 정리 이전 달러인덱스를 통한 외환거래 및 선물상품 거래전략에 이어 달러 인덱스가 예측했던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다수 종목의 포지션 진입이 되었습니다. 각 종목별 차트상 위치에 따라 선 진입이 된 상품도 있고 뒤이어 진입이 된 상품 아직 진입가격이 오지 않은 상품이 있습니다. 각 상품별로 대응방법을 따로 설정하고 앞으로의 거래 전략을 브리핑하겠습니다. 1. 나스닥 저점에서 가지고 있던 한계약은 전략에 따라 고점을 넘기면서 익절을 해둔 상황. 깊은 눌림으로 마지막 파동은 18000을 넘기지 않는 선에서 종료될것으로 보고 매도자리 셋팅중. 2.다우 작년 말에 셋팅해둔 매도 자리가 범위가 매우 넓은 상황인데 선진입한 물량은 1차익절가에선 대부분 청산을 하며 남은 2개의 저항선에서.. 차트 브리핑 2024. 2. 5. 더보기 ›› 2024년 2월 해외선물 전 종목 간단 브리핑 2024년 2월 해외선물 전 종목 간단 브리핑 1.나스닥 현재 마지막 파동의 마무리가 다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저점이 1파의 고점과 닿지 않았고 2파의 난이도 보다 4파의 변폭의 스케일이 더 커졌기 때문에 정석적으로 남은 5파가 남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존 최대길이를 18200까지 보았으나 이번 실적발표와 금리발표의 여파로 매도압박이 커진 관계로 18000을 못넘기고 당분간은 조정이 올 것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하도 흔들어 대는 바람에 계약수를 많이 가져가지는 못했으나 남은 계약은 전고점을 넘기는 목표로 가지고 가서 다음주 매도 공략준비를 해야겠습니다. 2.항셍 진입가에 1틱차이고 체결을 주지 않고 1차익절가 까지 도달 하였습니다. 추격을 할 수 있었으나 파동분석에 따라 임펄스파동이 아닌 하모닉 .. 차트 브리핑 2024. 2. 2. 더보기 ›› 7월, 누적 트레이딩 대시보드 - 거래내역 분석 보고서 -트레이딩 대시보드 해외선물 전 종목 거래내역을 시각화하여 대시보드를 통해 거래내역을 분석하는 툴입니다. 나스닥 / 항셍 포함 전종목을 통합적으로 보고서를 작성하였으나, 단타 특강등 나스닥 / 항셍의 진폭과 특성으로 인해 관점별로 세부적인 분석 자료를 위해 나스닥 / 항셍 지수 종목은 분리하여 대시보드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대시보드 메뉴얼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 대시보드 VER.20 메뉴얼 (3월~5월 누적데이터) -나스닥 / 항셍 거래내역 분석 보고서 6월 22일 ~ 7월 28일 카카오톡 오픈채팅에서 운영하고 있는 실시간 브리핑방 - 【Premium】 Trading Room에 공유되는 거래전략 내역입니다. 나스닥 / 항셍 특성상 단타와 스윙 두 관점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카.. 트레이딩 실적 인증 2023. 8. 2. 더보기 ›› 7월 04일 화요일 Trader's Pick 관점 정리 Trader's Pick 관점 정리 이번 주 주요 종목 지지 / 저항 입니다. 전차시📈 【Premium】 Trading Room에 들어오시면 실시간 으로 올라오는 전략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입장문의: 텔레그램-https://bit.ly/junchasee_tele 카카오톡-https://bit.ly/junchasee_kakao #다우 #9월물 #1시간봉 - 다우를 포함한 미증시들은 현재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저번주에 2번 상승 평행채널까지 상향 돌파를 성공해줬습니다. - 6월달에 하향이탈한 1번 상승 추세선에 근접하게 올라와줬네요. 3번 수평 매물대와 해당 추세선이 위치한 자리에 숏 타점 잡아봤습니다. - 아래 매도전략과 같이 4번 전고점인 34880 부근 갱신하면 손절이며 익절가는 전 변곡.. 차트 브리핑 2023. 7. 4. 더보기 ›› 6월27일 화요일 Trader's Pick 관점 정리 Trader's Pick 관점 정리 이번 주 주요 종목 지지 / 저항 입니다. 전차시📈 【Premium】 Trading Room에 들어오시면 실시간 으로 올라오는 전략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입장문의: 텔레그램-https://bit.ly/junchasee_tele 카카오톡-https://bit.ly/junchasee_kakao #다우 #9월물 - 다우는 저번 주에 1번 상승 추세선을 하방이탈하고 몇 일째 조정 진행 중입니다. - 2번 하락 평행 채널 내에서 계속 흐름을 이어오다 오늘 상단 상방돌파를 해줬습니다. - 단기적으로는 채널 돌파로 인한 반등세를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 이후 추가 하락이 나오게 된다면 아래 매매전략과 같이 3번 하락 추세선, 4번 상승 추세선, 그리고 5번 매물대에 매수 .. 차트 브리핑 2023. 6. 27. 더보기 ›› 전차시 WEEKLY 글로벌 시황 - 5월 3째주 (부채한도 협상, 대차대조표, 파월연설) -금주 주요 이슈 이번주는 자잘한 일정들로 스케줄이 빠듯하니 변동성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일단 오늘 미국 부채한도 협상과 중국 투자 수치 발표, 목요일에 연준 대차대조표, 금요일에 G7 정상회의와 파월 의장 연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특히 연준이 6월 FOMC에서 금리 인상을 중단할지 주목되는 가운데 전세계 투자자들은 바이든과 공화당의 부채 한도 협상 결과를 숨죽여 지켜보는 분위기입니다. 원래 12일에 회동이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오늘로 연기됐습니다. 참고로 바이든 대통령이 이번 G7 일정 때문에 일본으로 출국할 예정이라 협상 시한이 그렇게 길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이번에 여야의 완만한 합의로 부채한도 상향이 확정된다면 불안감 해소로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 경제 시황 및 이슈 정리 2023. 5. 16. 더보기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