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지적 차트 시점 교육 자료 #이동평균선 #보조지표

전지적 차트 시점 발행일 : 2023-03-12

이동평균선의 이해

전지적 차트 시점 교육 자료 #이동평균선

 

오늘 강의드릴 내용은 이동평균선(이평선) 입니다.
아마 제일 흔한 보조지표이고, 대한민국 주식쟁이들은 제일 많은 쓰는 지표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런데 EMA,SMA,WMA,SMMA..등등 본인이 쓰는 이평선이 어떤 산출값을 나타내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고 쓰시는분은 10명중 2명은 될까 싶습니다.
남들이 쓰니까.. 기준 삼을만한게 없으니까.. 눈에 잘보이니까 뭐 여러 이유들로 인해서 쓰시는 분이 대부분 이겠죠.
그래서 써보니 어떻습니까? 잘 맞습니까? 그걸로 돈은 벌으셨나요? 대답은 100명중 99명이 아니오. 입니다.
EMA, SMA 차이점이나 산출값.. 이런 머리아픈 내용을 설명드리려는건 아닙니다.

자, 골자는 이렇습니다. 예시 사진 1번을 보시면 단기,장기 이평선에 따른 
지지/저항, 정배열/역배열, 골든 크로스/데드 크로스의 예시를 보여주는 모습입니다.
이런 기본내용은 검색을 1분만 하셔도 너무 쉽게 나오는 내용입니다.
이런 누구나 아는 내용은 굳이 입아프게 설명하지 않아도 알아서 찾아보셔야 하는 내용입니다.
장/단기에 따른 이평선에 지지/저항 그리고 골든 크로스/데드 크로스에 따른 추세전환

이동평균선은 실제로 예시처럼 근거가 아에 없는 지표는 아닙니다.
하지만 실제론 어떨까요? 여러분들이 트레이딩을 하면서 예시처럼 주봉만 켜놓고 거래를 하시나요?
아니면 이동평균선을 이용해서 진입과 손절 그리고 익절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하시나요?
아마 이평선을 통해 거래를 하신 대부분은 손절이 잦거나 손해를 많이 보셨을겁니다.
그럼 이동평균선을 왜 강의하냐.
여러분은 답은 이미 알고있습니다. 오답을 알면 정답이 보이죠.
아시다시피 선물거래는 손절이냐 익절이냐 둘의 선택지 입니다. 그간 이평선으로 손절을 많이 보셨으면 반대로 하시면 됩니다.
이해하시기 쉬우라고 반대라고 말씀을 드렸지만 정확히 말하면 이동평균선을 "잘" 이용하시라는 거죠.

예시 2번 사진


예시 2번을 보시면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이동평균선에 대한 내용과 실제는 다른걸 보실 수 있을겁니다.
지지/저항이 발생될 곳이 금방 뚫리고 추세전환이 이뤄져야 할 곳이 금방 꺾이고.
이동평균선이 처음 문서화된게 1901년 이고, 주가분석에 쓰여진건 1950년대 입니다.
단순 수요/공급만 있던 구시대의 분석법으로 지금 같은 옵션/선물과 같은 다양한 변동성이 존재하는 시장에는 뒤떨어지는 분석법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때문에 지금 시장에 맞는 트레이딩 판단 자료가 될수가 없겠죠.

저희 전지적 차트 시점 트레이딩팀은 위와같은 실패율을 계산해 손절이 나는 이유에 대해서 연구를 해본결과
몇가지 데이터를 얻을수 있었습니다. 이평선의 이격도,추세파악과 트레이딩 기준..그 해답은 이평선의 이용방법이죠.
*위에 설명드린 기본내용을 이해하고 다음 메뉴얼 설명으로 넘어가시길 바랍니다.

전.차.시 이동평균선 (VER 1.0) 사용 메뉴얼
https://t.me/junchasee_indi/17

 

댓글